'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616]강아지 (0) | 2023.06.16 |
---|---|
[20230615]장미 (0) | 2023.06.15 |
[20230615] 하늘 (0) | 2023.06.15 |
[20230615] 고양이 (0) | 2023.06.15 |
[20230524]아기고양이 (0) | 2023.05.26 |
[20230616]강아지 (0) | 2023.06.16 |
---|---|
[20230615]장미 (0) | 2023.06.15 |
[20230615] 하늘 (0) | 2023.06.15 |
[20230615] 고양이 (0) | 2023.06.15 |
[20230524]아기고양이 (0) | 2023.05.26 |
[20230718]고양이들 (0) | 2023.07.19 |
---|---|
[20230615]장미 (0) | 2023.06.15 |
[20230615] 하늘 (0) | 2023.06.15 |
[20230615] 고양이 (0) | 2023.06.15 |
[20230524]아기고양이 (0) | 2023.05.26 |
[20230718]고양이들 (0) | 2023.07.19 |
---|---|
[20230616]강아지 (0) | 2023.06.16 |
[20230615] 하늘 (0) | 2023.06.15 |
[20230615] 고양이 (0) | 2023.06.15 |
[20230524]아기고양이 (0) | 2023.05.26 |
[20230616]강아지 (0) | 2023.06.16 |
---|---|
[20230615]장미 (0) | 2023.06.15 |
[20230615] 고양이 (0) | 2023.06.15 |
[20230524]아기고양이 (0) | 2023.05.26 |
[20230523]고양이 (0) | 2023.05.24 |
[20230615]장미 (0) | 2023.06.15 |
---|---|
[20230615] 하늘 (0) | 2023.06.15 |
[20230524]아기고양이 (0) | 2023.05.26 |
[20230523]고양이 (0) | 2023.05.24 |
[20230520]고양이 (0) | 2023.05.20 |
카메라 자체의 iso와 그에 따른 허용노이즈가 버텨 준다면 크롭에서 이 렌즈 하나로 에지간한 일상사진들은 문제가 없다.
심도의 문제와 노출 문제를 선예도의 포기 없이 해결해 준다.
구라핀과 무게대비 화각이 애매하다라는게 문제지만....
SIGMA A 18-35mm F1.8 DC HSM 사용 후기(1) (0) | 2023.06.02 |
---|---|
풀프레임 50mm와 크롭 40mm의 비교 (0) | 2023.05.27 |
2023년 펜탁스의 kp는 쓸만할까?(1) (0) | 2023.05.27 |
2023년 캐논 6D는 쓸만할까? (0) | 2023.05.14 |
환산 화각 27-52mm, 크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렌즈 구간을 1.8조리개로 모두 집약한 렌즈.
소위 크롭단에서 축복이라 불리는 표준 줌렌즈들이 17-50(환산 화각 25-75) 으로 화각을 구성하며 조리개 2.8로 내놨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 렌즈는 적절한 화각단으로 아주 뛰어난 조리개를 달아놓은 렌즈임에 분명하다.
시그마 아트라인의 특성상 선예도는 매우 뛰어나다. 가장 무시무시한건 최대 개방 화질인데, 사실 각 카메라 메이커및 렌즈만을 전문으로 하는 서드파티 라인업들의 렌즈들도 최대 개방 화질은 좀 무시하고 넘어가는 경향이 있었다는 걸 안다면 이 시그마 18-35 렌즈는 정말 무시무시한 렌즈임은 틀림 없다.
dslr이 한창 유행이던 2000~2010년대 초중반까지 줌렌즈의 최대 개방시 화질 저하문제는 기본 베이스로 깔고 가는 상황에 가까웠다. 저광량에서 그럭저럭 사용해볼만한 f4까지 조리개를 '조이는' 일은 아주 흔했으며, 최대 개방의 상황은 그저 너무너무 어두워 셔속 확보를 위하거나 소위 아웃포커스를 위해(=인물 사진에서 압축과 이쁜 보케를 얻게 위해) 열게되는 상황에 지나지 않았다.
그당시 기억으론 핀만 맞다면 신의 렌즈라 불리던 캐논의 오이만두(50mm f1.2)와 다른 카메라 메이커의 표준 단렌즈 역할 했던 시그마의 삼식이(30mm f1.4)등 dslr 유행한 시기의 단렌즈들은 밝은 조리개값을 자랑했지만 재미있게도 최대 개방은 쉽사리 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최대 개방에서 소프트함이 문제가 컸다. 여기에 더해 최대 개방으로 갈수록 핀이 미쳐 날뛰었던 문제가 있었고.
그에 비해 시그마의 18-35는 사실 선예도에선 문제가 크게 없다. 전구간 단렌즈급이라는 말은 맞는 말이긴 하다. 물론 2020년대 단렌즈들에는 비할바는 못된다고 본다. 적어도 2000-2010년대 사용했던 카메라의 단렌즈급과는 충분하게 비빌수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시그마의 18-35는 최대 개방에서도 상당한 선예도를 자랑하며 한스탑만 조여도 2000-2010년대 단렌즈들의 f4 값까지는 충분하게 비벼볼 정도의 선예도를 보여준다. 생각한다.
그렇기에 이 시그마 18-35 렌즈는 상당히 쓸만한 렌즈임에는 틀림없다.
다만 이 렌즈의 문제는 화각 대비 심각한 무게와 부피, 그리고 이해 불가한 초점문제가 있다.
다른 마운트에서는 사실 단렌즈의 무게와 부피 때문에 다양하게 들고다니면서 써먹기 어렵지만 펜탁스의 경우 Limited 렌즈들이 존재한다. 펜탁스의 Limited 3종 단렌즈(15mm 21mm 40mm) 다 들고 다녀도 시그마 18-35보다 가볍다...
물론 조리개에서 시그마 18-35의 이득이 존재하고 렌즈 교환 안해도 된다는 장점이 존재하긴 하는데, 심도를 제외하면 펜탁스 카메라도 이제는 iso대비 노이즈가 좋아져서 조리개의 약점을 좀 극복이 가능하다. 그리고.. 렌즈 교환 안해도 된다는 장점은 줌비가 무게 대비 너무 좁아서 문제가 생긴다. 농담이 아니라 나는 20mm대의(표준 환산 30mm대)의 마크로 렌즈 하나면 시그마 18-35 화각대는 대충 발줌으로 커버가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종종 들곤 한다. 아예 다 정리하고HD Pentax-DA 20-40mm F2.8-4 Limited DC WR를 쓰는게 정말 원렌즈로 낫지 않을까란 생각도 들고. 이건 심지어 방진방적까지 달렸으니...
초점 문제는 좀더 심각한데, 캐논에서만 느낀 구라핀을 시그마 18-35에서 겪고 있다.
이게 좀 설명이 애매한데, 일반적인 상황에선 개방의 유무와 상관 없이 렌즈핀이 아주 잘맞다. 헌데 저광량이나 컨트라스트 차이가 뛰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초점을 '대충' 잡고 그만 둬 버린다. 헌데 이짓을 무한대 초점에서도 동일하게 수행하는 경우가 왕왕 생긴다. 애초에 이 렌즈는 광각단에 어울리는 렌즈인데 무한대 초점에서 발생하면 좀 문제가 심각하다.
나는 Sigma EX DC HSM 17-50mm F2.8 렌즈도 사용하는 상황인데, 적어도 이 렌즈는 초점을 못잡으면 못잡았지 구라핀은 잡아주진 않았다. 여타 펜탁스 단렌즈들도 마찬가지고.
그래서 환장한다. 초점만 맞으면 선예도가 뛰어나니까. 최대개방에서도 말이다.
[렌즈]SIGMA A 18-35mm F1.8 DC HSM 심도 차이(ufo 18-35를 버릴 수 없는 이유) (0) | 2023.06.06 |
---|---|
풀프레임 50mm와 크롭 40mm의 비교 (0) | 2023.05.27 |
2023년 펜탁스의 kp는 쓸만할까?(1) (0) | 2023.05.27 |
2023년 캐논 6D는 쓸만할까? (0) | 2023.05.14 |
1)캐논 6d 캐논 EF 50mm F1.8 II
(조리개수치 f2.8 iso5000)
2)펜탁스 kp smc PENTAX DA 40mm F2.8 Limited (표준환산 60mm)
(조리개수치 : f2.8 iso6400)
[렌즈]SIGMA A 18-35mm F1.8 DC HSM 심도 차이(ufo 18-35를 버릴 수 없는 이유) (0) | 2023.06.06 |
---|---|
SIGMA A 18-35mm F1.8 DC HSM 사용 후기(1) (0) | 2023.06.02 |
2023년 펜탁스의 kp는 쓸만할까?(1) (0) | 2023.05.27 |
2023년 캐논 6D는 쓸만할까? (0) | 2023.05.14 |